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데이터중심애플리케이션설계
- Born2beroot #42
- dockerd
- docker
- 네스트JS
- nestjs
- 42Seoul
- 42
- data-root
- pipex
- Daemon
- django #ninja #django-ninja #장고
- Spring-Boot
- Spring
- ecole42
Archives
- Today
- Total
혼자 정리
[CSAPP] 3. Machine-Level Representation of Programs ~ 3.1 A Historical Perspective 본문
CSAPP정리
[CSAPP] 3. Machine-Level Representation of Programs ~ 3.1 A Historical Perspective
tbonelee 2021. 6. 21. 14:39- 컴퓨터는 기계 코드(machine code)를 실행. (로우레벨 오퍼레이션들을 바이트의 일련으로 인코딩한 것)
- 컴파일러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기계코드를 생성.
- GCC는 기계 코드의 텍스트 버전인 어셈블리 코드를 생성.
- 그 다음 GCC가 어셈블러와 링커를 불러서 실행 가능한 기계 코드를 생성
- 이번 단원에서는 기계 코드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어셈블리 코드에 대해 살펴볼 것.
- x86-64 기반의 기계 언어를 볼 것.
'CSAPP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APP] 3.4 정보 접근하기 ~ 3.5 산술연산과 논리연산 (0) | 2021.06.22 |
---|---|
[CSAPP] 3.3 데이터의 형식 (0) | 2021.06.22 |
[CSAPP] 3.2 프로그램의 인코딩(Program Encodings) (0) | 2021.06.22 |
[CSAPP] 2.2 정수의 표시(Ch. 2 정보의 표현과 처리) (0) | 2021.04.04 |
[CSAPP] 2.1 정보의 저장(Ch. 2 정보의 표현과 처리) (0) | 2021.04.03 |